자산관리

6개월 단기 투자, RISE ETF vs KODEX CD ETF vs HI통장?

$$$$$$$$ 2025. 4. 15. 01:51

- RISE ETF vs KODEX CD ETF vs HI통장 실수익 비교


✅ 이런 분을 위한 글입니다

  • 6개월 이내 현금이 꼭 필요한 분
  • 조금이라도 은행보다 수익을 올리고 싶은 분
  • 절대 원금 손실을 원하지 않는 분
  • ETF나 금융상품이 어렵게 느껴지는 분

📌 비교 대상: 단기 상품 3종 세트

상품명특징
RISE ETF 단기채+MMF에 투자, 매일 수익 반영
KODEX CD ETF CD금리 기반, 낮은 수수료, 꾸준한 기준가 상승
SC제일은행 HI통장 수시입출금 가능, 1억 이상 고금리 적용

비교 기준은 2025년 3월 11일 ~ 4월 11일, 실제 1개월 수익률을 기준으로,
1억 원 예치를 가정한 시나리오로 분석했습니다.


💼 RISE 머니마켓액티브 ETF

  • 안정적 채권+MMF 자산 운용
  • 운용보수 연 0.05%
  • 수익은 기준가 상승으로 반영
  • 세금: 배당소득세 15.4%
  • 현금화 소요: D+2일

장점
✅ 기준가 안정적, 수익 흐름 일정
✅ 복리효과 적용

단점
❌ 당일 인출 불가
❌ 시장가 체결 리스크 존재


📊 KODEX CD금리액티브 ETF

  • CD 금리에 연동되는 채권형 ETF
  • 운용보수: 연 0.02% (업계 최저 수준)
  • 배당 없이 기준가 상승으로 수익 발생
  • 세금 동일: 배당소득세 15.4%
  • 현금화: D+2일

장점
✅ 낮은 수수료
✅ 기준가 우상향, 수익률 우수

단점
❌ 당일 현금화 불가
❌ 예금자 보호 X


🏦 SC제일은행 HI통장

  • 특별금리 적용 수시입출금 통장
  • 1억 이상 예치 시 연 2.6% (세전)
  • 1억 미만이면 금리 1.6%로 하락
  • 예금자 보호: 5천만 원까지 적용
  • 즉시 출금 가능

장점
✅ 실시간 입출금 가능
✅ 원금 손실 無
✅ 복잡한 ETF 구조 없음

단점
❌ 1억 미만 예치 시 수익 급감
❌ 금리 변동성 존재


📈 1개월 실현 수익률 비교 (세후 기준)

항목RISE ETFKODEX CD ETFHI통장
실수익(1개월) 237,444원 294,097원 183,300원
수익률(세후) 0.2374% 0.2941% 0.1833%
유동성 D+2일 D+2일 ✅ 즉시 인출 가능
예금자 보호 ✅ 5천만 원 한도
원금 손실 가능성 매우 낮음 매우 낮음 없음

🔮 6개월 후 예상 수익 비교

항목RISE ETFKODEX CD ETFHI통장
누적 수익 약 1,424,664원 1,764,582원 1,099,800원
누적 수익률 1.4247% 1.7646% 1.0998%

💡 수익률은 KODEX가 우위, 그러나 현금화와 리스크 관점에서 HI통장이 우세


✅ 단 하나를 고른다면? → HI통장

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1. 즉시 자금 활용 가능 – 언제든 앱에서 출금 가능
  2. 0% 원금 손실 – ETF의 시장가 체결 리스크 없음
  3. 예상 가능한 수익 흐름 – 세후 약 18만 원/월 수익 확보

⚠️ 단, 금리는 변동 가능성 존재! 향후 금리 고시 확인 필수


📦 실전 투자 전략: 분산도 고려하자

전략설명
안정형 HI통장 1억 전액 – 원금 보호+즉시 현금화
균형형 HI통장 5천 + KODEX 5천 – 예금자 보호 + 수익 보완

⚠️ HI통장 5천만 원만 넣을 경우 금리가 1.6%로 하락, 수익도 절반으로 감소함


🔍 핵심 요약

  • 현금 유동성이 절대적이라면 👉 무조건 HI통장
  • 수익률이 중요하다면 👉 KODEX CD ETF 고려
  • 둘 다 중요하다면? 👉 전략적 분산 투자
  • 금리 변동 감안해서 매월 점검하는 습관 필수
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ETF는 왜 당일에 현금화가 안 되나요?
A1. 거래소에서 매도 후 결제까지 2영업일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.

Q2. 예금자 보호가 필요한가요?
A2. 1억 전액을 예치할 경우, 보호 한도를 초과하므로 일정 수준의 분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Q3. ETF의 ‘시장가 리스크’는 무엇인가요?
A3. 매도 시 호가가 얇으면 손해보고 체결될 수 있는 위험을 의미합니다.

Q4. 금리 변동 가능성은 얼마나 크나요?
A4. 2024년 말 이후 기준금리가 하락세에 있으며, HI통장도 그에 따라 금리가 조정될 수 있습니다.


🏷️ 관련 태그

단기-투자, 6개월-예치, RISE-ETF, KODEX-CD, HI통장, 현금화-투자, 예금자-보호, 부동산-계약금, 단기수익, 파킹통장